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본봉돌과 스위벨 비율에 관한 질문입니다.

여러가지 게시물을 찾아본 결과... 두가지 의견으로 압축 되는 것 같습니다. 1. 7:3, 또는 8:2 정도의 비율. 2. 찌몸통까지만 본봉돌, 찌탑은 스위벨. 1번의 경우, 계산기 두드리면 나오겠지만, 2번이 조금 모호 하네요... 찌탑의 가장 아랫부분(몸통바로윗부분)부터, 스위벨만의 무게로 부력을 맞추는데... 어느부분까지 맞추는건지 궁금합니다.(케미고무 하단까지 맞추는거 같긴한데...확실한걸 모르겠네요)

군계일학식으로 하면 1목 노출 까지 마춘 후 나머지는 오링 1-2로 딸꼭합니다.
그리고 낚시 할 대는 2-3목 내 놓고 합니다.
비율에 대한 답변은 아닌 것 같네요.
참고로 말씀 드리면 황동 추나 좁살 추 크기별로 달아가면서 가장 적합 한 것을 찾아서 단 후에
미세 조정은 본 봉돌을 칼로 살살~~ 다듬어 쓰고 있습니다.
2번으로 하실려면 상당히 힘듭니다..

1번으로 하셔도 무방하오니, 1번 추천드립니다.
전부 동일종의 찌를 쓰신다면 1번이 편하시겠네요 2번이라면 찌몸통이 수면위로 살짝드러나게 본봉돌을깎으신후 스위벨을달아(이때는 무거운 상태가 좋습니다 후에 본동돌을 깎아야 안정적이 되거든요) 캐미를 물에서 나오게 낚시를 하신다면 캐미꽂이나 캐미가 물에서 살짝잡히게 하시고 수면에 캐미만 빼꼼히 빼고하신다면 좀더 무겁게 하셔야합니다 낚시하실때 캐미를 조금 내놓고 하시는게 바닥안착이된걸 알수있으니 더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2번으로 마춥니다 찌톱이(두꺼워지는 부분까지 살짝 들어나도록)모두 들어나게 마춘후 스위벨을 달았을때 케미고무하단이나 중간에 마추어지면 미세조정해서 사용하는데 스위벨이 찌톱을 다 가라앉이지 못할경우 한호수 큰 스위벨로 교체합니다 각찌의 부력차가 크지 않다면 대부분 한호수의 스위벨이면 되더군요 저는 보통5~ 6호 사용합니다
저도 초보로써 한달동안 검색해보고
내린 결론은 2번입니다.

최소한 스위벨이 찌톱의 부력을
상쇄시킬수는 있을정도의
무게여야한다입니다.

그다음은 찌의 부력과 상황에 따라
찌톱까지 또는 찌몸통 1/3, 1/2은
선택하시면 될듯합니다^^
원하시는 스위벨크기달고 본봉돌을. 깍으시는게. .
참고로 스위벨은 찌탑을 내려주는 이상으로 무거워야 합니다 그리고 본봉돌을 깎아야 중간목줄이 긴장되고 안정적이됩니다
활성도안좋을때 아래스위벨은 가볍게 좋을때는 약간무겁게하심이
찌몸통이10이면 웟봉돌로9정도까지 내려가게마추시고나머지 스위벨무게로몸통1과
찌고무정도까지 마추시면 무난한데 상황에따라 스위벨 가감하세용
스위벨이가벼울수록 찌오름은멋진데 헛챔질이날수있는 확률은높아지니까
찌마춤의타이밍을잘잡으셔야해용
전 그냥 편하게합니다
2-3호봉돌이면 3호 스위벨
그이하는 2호스위벨
4-5호봉돌이면 4호 스위벨
그이상은 5호스위벨
딱 요래씁니다
2번으로 하실려면 찌마다 부력이 다틀리니까 스위벨 무개가 찌톱을 몇마디 가라 앉히는지 알고 계셔야 세밀한 맞춤이 됩니다!
스위벨무게는 결정하시고 엮방향으로올라가시면 편안하던대여 8대2도스위벨이좀무겁더라고여
맨밑에 스웨벨6호, 중간에 좁쌀황동유동추 4호,
맨위에 황동유동봉돌편납용 유동시켜서
편납감아서 찌맞춤 합니다. 수조에서 찌톱1마디 맞추고
현장에서 케미노출 낚시하면 됩니다.(찌올림환상)
모두 밑으로 내려서 편납 보충하면 풍덩채비 됩니다.
활성도 좋을때 풍덩채비, 반대일때 2분활& 3분활채비로
사용합니다.
스위벨은 찌 몸통에서 찌탑까지의 무게만으로 하시는게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계산하기는 어렵죠.
물의 흐름과 대류만 없다면 스위벨은 가벼울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1번 방법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지금은 원봉돌을 쓰즈만
전에좁살이나 스위벨을 했을때는
본봉돌로 몸통끝을 잡고,좁살은 스르륵 잠기게
스위벨은수면 일치 하게끔 맞추어
캐미약간노출후낚시합니다.
..현장 찌맞춤이라면 무관하겠습니다만...
..원줄의 종류와 호수에 따라..차이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찌탑의 부력이 미미하고..애매한 부분이 있으므로..지나치게 예민하게 맞추면 노지의 물속 부유물8에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노지라면 충분한 스위벨이 보다 안정적입니다..
노지 대물할때는 통상 5호 스위벨사용하고
떡밥용으로는 4호 사용합니다,,,
저는 편대 하는데요
그날 입질 활성도와 몇가지 고려를 했을때 편대 무게를 조절 합니다

일딴 오링이 몇목먹는지 확인후 그만큼노출시켜 오링추가하여 캐미고무하단 3초 5초 7초 딸꾹에마추고요
입질상태를봐서 두목을올리던지 한목을올리 던지 판단합니다

그리고 저같은경우 낚시노하우는 본봉돌을 위코프를사용하여 오링을 위코프에 끼워있는 상태에서 입질상황에따라 위코프에끼워있는 오링을 편대로 옴겨 안정감과 찌올림을 더좋게되더라구요
조사님도 아래 스위벨에 핀도래 설치하셔서 오링을 위아래로 옴겨 스위벨 무게를 조절해보세요
제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 드리자면 다시 원봉돌채비로 돌아옵니다
미련때문에 옥내림도 셋팅해서 바닥+옥내림 함께 운용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