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인들이 흔히 '작은 저수지 또는 못'이란 뜻으로 "소류지"란 말을 쓰지만, 그런 의미의 "소류지"는 국어사전엔 없구요.
사립옹님께서 말씀하신 '늪지대'를 뜻하는 "소류지(沼溜地)"만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따라서, '작은 못을 뜻하는 소류지'는 낚시인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신조어 쯤으로 봐야 한다는군요.
사실 저수지의 규모를 규정하는 단어로는 소형지, 중형지, 대형지가 있겠는데요.
낚시인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소류지는 곧 소형지를 뜻하는 말이라고 생각됩니다.
소형지는 1만평 미만, 중형지는 1만~10만평, 대형지는 10만평 이상의 저수지를 뜻한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정확한 것은 저도 검색을 새로 좀 더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수지와 둠벙을 나누는 기준은 수리시설이 되어 있느냐 없느냐로 나눈다고 하네요.
즉, 쉽게 말해서 제방이 있으면 저수지, 제방 없이 물만 고여 있으면 둠벙으로 본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제 검색에는 둠벙의 규모는 규정이 된 것이 없네요.
그런데 낚시인들이 통상적으로 비교적 규모가 작은 저수지를 소류지라고 지칭하는 것 같습니다. 그 규모의 정확성은 모르겠네요.
사립옹님의 말씀이 맞는 것 같네요.
낚시인들이 흔히 '작은 저수지 또는 못'이란 뜻으로 "소류지"란 말을 쓰지만, 그런 의미의 "소류지"는 국어사전엔 없구요.
사립옹님께서 말씀하신 '늪지대'를 뜻하는 "소류지(沼溜地)"만 국어사전에 나옵니다.
따라서, '작은 못을 뜻하는 소류지'는 낚시인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신조어 쯤으로 봐야 한다는군요.
사실 저수지의 규모를 규정하는 단어로는 소형지, 중형지, 대형지가 있겠는데요.
낚시인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소류지는 곧 소형지를 뜻하는 말이라고 생각됩니다.
소형지는 1만평 미만, 중형지는 1만~10만평, 대형지는 10만평 이상의 저수지를 뜻한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정확한 것은 저도 검색을 새로 좀 더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수지와 둠벙을 나누는 기준은 수리시설이 되어 있느냐 없느냐로 나눈다고 하네요.
즉, 쉽게 말해서 제방이 있으면 저수지, 제방 없이 물만 고여 있으면 둠벙으로 본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제 검색에는 둠벙의 규모는 규정이 된 것이 없네요.
참고하세요...
규모가 작은 저수지를 말하는게 아니란것을..... 사립옹님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