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양어장 가서 마추려고 했다가 낭패를 보았습니다 ㅡㅡ
1호봉돌 깍아내는데 그만 연결도레가 끈어져서 ㅡㅡ;
그래서 나름 보안책으로 봉돌 대신 유동홀더를 끼우고 유동은 스타일대로 주시고
스위벨은 요즘 종류가 다양하더라구요
생각보단 부피만 크고 무게는 작게 나가는.....
암튼 전 중량보고 구입했는데요
0.75g인가 호수로는 8호였던거 같습니다.
1~14호까지있는데 숫자가 높으면 무게가 작더군요
목줄 길이는 통상 (봉동 기준)13~15센치정도에 (바늘)4~5센치 부분에 스위벨 구성하더군요
자세한 찌마춤이나 방식은 네이버에 군계일학 가시면 동영상 나옵니다
하우스에서는 내림으로 하세요...
저푼수 내림찌에 0.8원줄 0.4목줄...잉어 수십마리 잡아도 잘 터지지 않습니다.
목줄은 몇개 교환해야 되지만...
군계일학 홈페이지 보면 동영상 교육이 상세하게 잘 올려져 있습니다.
초보자 분들도 쉽게 따라 할수 있구요.
하우스에서 올림으로 스트레스 받지 마시구 내림을 한번 배워 보세요..
나름 재미도 있습니다.
1호봉돌 깍아내는데 그만 연결도레가 끈어져서 ㅡㅡ;
그래서 나름 보안책으로 봉돌 대신 유동홀더를 끼우고 유동은 스타일대로 주시고
스위벨은 요즘 종류가 다양하더라구요
생각보단 부피만 크고 무게는 작게 나가는.....
암튼 전 중량보고 구입했는데요
0.75g인가 호수로는 8호였던거 같습니다.
1~14호까지있는데 숫자가 높으면 무게가 작더군요
목줄 길이는 통상 (봉동 기준)13~15센치정도에 (바늘)4~5센치 부분에 스위벨 구성하더군요
자세한 찌마춤이나 방식은 네이버에 군계일학 가시면 동영상 나옵니다
손맛 많이 보세요
스위벨은 14호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하우스 특성상 에민함을 요구하므로 부로아로인한 흐름만 없다면 최대한 작은 스위벨이 유리합니다)
그리고 줄은 카본줄은 조금은 무리입니다. 특히 스위벨채비에서는 카본줄자체의 침수문제 때문에
하우스는 걸림이 없어 천정등을 치지 않는이상 원줄이 손상되는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모노1호나 1.2호정도가 적당할것같네요
이제는 하우스가 오픈한지 시간이 조금 지난관게로 입질이 까다로우니 최대한 가벼운채비를 하는것이 좋을것같네요.
저도 하우스에서 스위벨채비를 가끔씩합니다만 요사이는 내림찌에 스위벨채비를 할정도로 에민하게 해야만 그나마 입질파악이 용이할정도이더군요 추운날씨입니다. 즐낚하세요
14호짜리그런게있었군요...저는 막사용했는데..ㅎㅎ;;
붕어탕에는 붕어가 작다보니 교통사고 나도 잘 안걸리는데 대구리탕은 교통사고 나면 겁나 잘겁니다.
바늘도 너무 작은거 쓰지마시구요 잡인지 손맛인지 모르겟는데.. 무미늘 9호 이상 미늘있는건 감시 3 ,4 호정도 쓰시면 잘겁니다.
마당 웅덩이에서 관찰한 결과 월척급이상이면 감시 3호바늘은 겨울철에도 가볍게 빨아줍니다.
무저건 바늘이 작다고 흡입을 잘하는게 아닙니다. 활성도가 떨어져서 미끼를 흡입하는 거리가 가까워져 찌오름폭에 차이가 있는 것
이지 바늘이 안빨려서 찌오름 폭에 차이가 있는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바늘이 작다고 줄이 가늘다고 이물감을 덜 느낄지는 모르겠지만 반사적으로 크던 작던 무저건 뱃습니다.. 이때 바늘이 어느정
도 고기 크기에 비례하면 뱃을시에 입안 어디든 슬쩍걸리면 고기가 놀래서 바로 대가리 틀죠.. 바로 자동빵되는거죠 ㅎㅎ
빨채비를 이용하여 훌치기 하는 것도 하우스에서 손맛보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저푼수 내림찌에 0.8원줄 0.4목줄...잉어 수십마리 잡아도 잘 터지지 않습니다.
목줄은 몇개 교환해야 되지만...
군계일학 홈페이지 보면 동영상 교육이 상세하게 잘 올려져 있습니다.
초보자 분들도 쉽게 따라 할수 있구요.
하우스에서 올림으로 스트레스 받지 마시구 내림을 한번 배워 보세요..
나름 재미도 있습니다.
홀더와 스위벨사이의 1차목줄은 당줄이나 약한 합사줄이 카본이나 모노줄보다 직립성이 잘되니까 참고하시고
저같은 경우 스위벨사용이 찌올림을 보기위한것인데 하우스특성상 올림보다는 빨리는 입질이 많이 나타나더군요.
어떠한 채비도 정답은 없는것같읍니다.환경과 개인기호에맞는 채비가 정답이겟지요
님한테 맞는 채비를 찿아서 손맛 많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