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제 1탄에서 와인의 짧막한 라벨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 봤읍니다
2탄은 와인에 이름을 붙이는 몇가지 패턴이 있다고 했는대 지금 알아 보죠~~
**상품을 지칭하는 이름은 생산자가 붙인 브랜드명이 일반적이지만 "샤블리(Chablis)" "보졸레(Beaujolais)"
등과 같은 이름은 브렌드 명이 아니고 산지명이라고 합니다
보통 5가지의 패턴이 있는대 산지명,포도의 품종명, 양조장명,브렌드명,애칭명으로나눠 집니다
1)산지명..유럽의 와인에는 생산 지역이나 포도밭을 이름으로 한것이 가장 많고 가족적 규모로 와인 제조를 하고
있는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와인에서 이런 패턴이 많이 있답니다
샤블리Chablis),보졸레(Beaujolais)ㅡㅡㅡ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의 지역이름
로마네쌩비방(Romanee-Saint-Vivant)ㅡㅡㅡ부르고뉴 지방의 꼬뜨 드 뉘 지역의 포도밭 이름
끼안띠 (Chianti)ㅡㅡㅡ이탈리아 토스카나주의 지역 이름
2)양조장명..샤또 이름이나 생산자 이름 등 양조장의 이름 그대로 와인명이 된경우랍니다
샤또 마르고(Chateau Margaux)ㅡㅡㅡ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샤또 이름
3)브렌드명...어느 생산자가 독단적으로 사용하는 이름이랍니다
동 뻬리뇽(Dom Perignon)ㅡㅡ샴페인의 대표적 이름인대 샴페인 개발자 이름이 와인 명.
4)포도 품종명...유럽이 외의 나라에서 사용 하는경우가 많답니다
쏘비뇽 블랑(Sauvignon Blanc)ㅡㅡㅡ화이트 와인의 원료가 되는 포도의 이름
메를로(Merlot)ㅡㅡㅡ레드 와인의 원료가 되는 포도의 이름
5)애칭명...이탈리아나 독일등에서는 역사상의 이야기나 와인 제조에얽힌 일화 등의 이름을 갖고있는 경우랍니다
라크리마 크리스티(Lacryma Christi)ㅡㅡㅡ그리스도의 눈물
ㅡ>그리스도가 나폴리에서 악행이 만연하는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렸는대 그곳에서 포도나무가 자랐다는이야기.
슈베르체 카츠(Schwarze Katz)ㅡㅡㅡ검은 고양이
ㅡ>독일 모젤 지방의 "검은 고양이가 앉았던 통의 와인은 잘된다" 는전설이 유래
처음부터야 어떤 이름이 어떤 경우에 속하는지 전혀 알수 없지만 산지명과 품종은 와인을 조금 마시다 보면 알수 있게된답니다 그리고 이름이 같다고 반드시 같은 와인은 아니랍니다, 우리가 제가 알고 있는 ㅎㅎ 까베르네 쏘비뇽 같은 와인이 그렇다고 하네요
아무쪼록 2탄도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 3탄은 각 나라마다 와인의 등급에 관해 알아 보겠읍니다
........아이고 힘들다 ㅋㅋ....
내츄얼틱한 와인이야기~~2탄
-
- Hit : 514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배우고 갑니데이